RPO, RTO
- RPO : Recovery Point Objective
- 복구 시점 목표
- 얼마나 자주 백업 실행, 시간상 어느정도 과거로 되돌릴 수 있는지 결정
- 재해 발생시 데이터 손실을 얼마만큼 감수할지 결정
- Data Loss = Disaster - RPO
- RTO : Recovery Time Objective
- 복구 시간 목표
- 재해 발생 후 복구할 때 사용됨
- Down Time = RTO - Disaster
Disaster Recovery Strategies
- Backup and Restore : RPO, RTO 큼. 가격 저렴함
- Pilot Light : 항상 작동하는 크리티컬 시스템을 이용해 복구
- Warm Standby : 시스템 전체를 실행하되 최소한의 규모로 가동해 대기.
- Hot Site / Multi Site Approach : RTO가 매우 낮지만 매우 비쌈. AWS, 온프레미스 상에서 full production scale을 가짐.
DMS : DataBase Migration Service
-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Migrate
- 복원력이 있고, 자가 치유가 있음
- 동종 마이그레이션, 이종 마이그레이션 지원 가능
- CDC (Change Data Capture)를 통한 지속적인 데이터 복제
- 이종 마이그레이션
- AWS SCT (Schema Conversion Tool) 사용
- Multi-AZ Deployment : DMS를 동기화 복제하여 Standby Replica를 다른 AZ에 만들어 가용성 높임
RDS & Aurora MySQL Migration
- RDS MySQL to Aurora MySQL
- RDS MySQL DB 스냅샷 생성 후 MySQL Aurora DB로 복원
- 다운타임 발생
- RDS MySQL로부터 Aurora 읽기 전용 복제본을 생성
- 지연시간 = 0 : 완전히 일치 → 복제본을 DB 클러스터로 승격
- 스냅샷보다는 시간이 걸리고, 네트워크 비용 발생
- RDS MySQL DB 스냅샷 생성 후 MySQL Aurora DB로 복원
- External MySQL to Aurora MySQL
- Percona XtraBackup을 사용해서 백업 파일 생성해 S3에 저장
- S3로부터 Aurora MySQL 생성
- DMS를 사용해 두 DB간 복제
On-Premise strategy with AWS
- Amazon Linux2 AMI 를 Virtual Machine으로 다운로드
- VM을 통해 온프레미스 인프라에서 Linux 실행 가능
- VM Import / Export
- 기존의 VM과 애플리케이션을 EC2로 Migrate
- 재해 복구 리포지토리 전략으로, VM을 클라우드로 올릴 수 있음
- AWS Application Discovery Service
- 온프레미스의 정보를 모아주고 마이그레이션 계획
- 서버 사용량 정보와 종속성 매핑에 대한 정보 제공
- 대량 마이그레이션에 유용함
- AWS Data Migration Service (DMS)
- 온프레미스에서 AWS로의 복제
- AWS에서 AWS로의 복제
- AWS 에서 온프레미스로의 복제
- AWS Server Migration Service (SMS)
- 온프레미스의 live server 를 AWS로 증분 복제할 때 사용
- 지속적인 복제를 위함
AWS Backup
- 완전 관리형 서비스
- AWS 서비스간 모든 백업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
- 리전간 백업 지원, 계정간 백업 지원
- PITR (지정시간복구) Backup, On-Demand and Scheduled Backup, Tag-based backup, Backup Plans (백업 빈도 설정)
- Backup Vault Lock : WORM 을 강제해서 백업 볼트에 저장한 백업을 삭제할 수 없고, 이를 통해 안전성을 보장함
AWS Application Discovery Service
- 서버를 스캔하고, 마이그레이션에 중요한 서버 설치 데이터 및 종속성 매핑에 대한 정보를 수집
- 어떻게, 무엇을 마이그레이션할지 결정
- Agentless Discovery
- Connector를 사용하여 마이그레이션
- 성능 기록에 대한 정보 제공
- Agent-based Discovery
- 가상 머신 내 더 많은 업데이트와 정보 얻을 수 있음
- AWS Migration Hub 서비스에서 모든 결과 데이터 확인 가능
- AWS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 (MGN)을 통한 리호스팅
- Lift-and-shift solution 이라고 불림
- MGN 실행해서 데이터 센터에 설치된 복제 에이전트가 디스크를 클라우드로 연속적으로 복제함. 컷오버 수행할 준비가 되면, 스테이징에서 프로덕션으로 이동함. 즉, 데이터 복제한 뒤 어느 시점에서 컷 오버 수행
- 다운타임 최소. 광범위한 플랫폼, 운영체제, 데이터베이스 지원
- 자동 수행되므로 관련 엔지니어 고용 X
Transferring last amount of data into AWS
- Over the internet / Site-to-Site VPN
- setup이 아주 빠름
- 데이터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김
- Over Direct Connect
- 초기 setup은 시간이 조금 소요됨 (한달 이상)
- 데이터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많이 빨라졌지만 그래도 느림
- Over Snowball
- 주문, 배송에 일주일 정도 소요됨
- 일회성 데이터 이동에 강함
- For on-going replication
- Site-to-Site VPN
- DX with DMS
- DataSync
VMWare Cloud on AWS
- 전체 VMWare Cloud의 인프라를 AWS에서 확장
- VMWare 기반 워크로드를 AWS로 마이그레이션
- 프로덕션 워크로드를 여러 데이터 센터 간 실행
- 프라이빗, 퍼블릭,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모두 가능
- 재해 복구 전략으로도 활용 가능
'AWS 자격증 공부 > AWS SAA-C0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SAA : Solution Architecture 예시 (1) | 2024.12.22 |
---|---|
AWS SAA : VPC (1) | 2024.12.21 |
AWS SAA : Database & Analysis & Machine Learning (1) | 2024.11.25 |
AWS SAA : Serverless (0) | 2024.11.24 |
AWS SAA : Container : ECS, Fargate, ECR, EKS (0) | 2024.11.24 |